Page 6 - 읽기쉬운 동경대전·용담유사
P. 6

일러두기










          [동경대전]

          1. 한문 원문의 경우 문장 해석의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기 위해 현
            토(懸吐)는 넣지 않았다.
          2. 한문 원문에 오탈자가 있거나 표기가 상이할 경우 계미중하판
            (1883년 경주판), 경진판 추정(1880년), 계미중춘판(1883년), 무자중
            춘판(1888년), 신묘중춘판(1891년), 임진판 성경(聖經)대전(1892년),
            최초 활자본(1907년)과 비교·검토했고 문장 전체의 맥락을 고려해
            가장 적절한 표기를 채택했으며 오류는 바로잡았다.
          3. 각 경편 제목의 우리말 해설은 원문에는 없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넣었다.


          [용담유사]

          1. 한글 원문은 표현과 띄어쓰기를 현대어 표기법에 맞춰서 했으며,
            구전(口傳)으로 인한 오류 가능성까지 살펴 오류임이 명백하다고
            판단한 몇 구절은 바로잡았다.
          2. 한자 덧말은 한글가사 원문에는 없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추가했다.
          3. 각 경편 제목의 해설은 원문에는 없지만 이해를 돕기 위해 넣었다.
   1   2   3   4   5   6   7   8   9   10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