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천도교
로그인 회원가입

無 體 法 經 (무체법경)-6) 삼심관(三心觀) 핵심 정리 > 자유게시판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 천도교소식
  • 자유게시판
  • 천도교소식

    자유게시판

    無 體 法 經 (무체법경)-6) 삼심관(三心觀) 핵심 정리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문상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24회   작성일Date 25-04-15 06:58

    본문

    1. 도의 세 가지 마음의 계단

    1) 세 마음의 계단

    도를 닦고 성품을 보려면 세 가지 마음의 계단(허광심, 여여심, 자유심)을 통해야 한다.

    이 계단을 이해하지 못하면 좋은 성과를 얻기 어렵다.

     

    2. 첫 번째 계단: 허광심(虛光心)

    1) 개념

    한울과 만물은 각각 성품과 마음을 가지고 스스로 움직이며 법상과 색상을 따른다.

    허광심은 비고 고요한 가운데 빛이 나며, 만 이치가 그 안에 포함되어 있다.

    2) 수련 방법

    부지런히 노력하고 깨달음을 지속하며 혼미하지 않으면 빈 곳에서 빛이 나게 된다.

    법체와 색체를 깨닫고, 돌아오는 빛이 모든 것을 밝히고 알게 한다.

    3) 한계와 권고

    여기에서 멈추지 말고 스스로 힘써 다음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3. 두 번째 계단: 여여심(如如心)

    1) 개념

    여여심은 비고 고요한 경지로, 삼라만상이 본래 나와 하나라는 깨달음을 준다.

    선악, 생사, 좋고 나쁨 등이 모두 법체의 자작(自作)이며, 사람이 만들어 낸 것이 아니다.

    2) 특징

    법체 안에서 묘하게 쓰이는 모든 것이 성품과 마음에서 비롯된다.

    성품과 마음의 본체는 비고 끊어진 경지에 이른다.

    3) 권고

    더 이상 구할 것이 없다면 잠시 쉬며 숨을 돌려 다음 단계로 나아가야 한다.

     

    4. 세 번째 계단: 자유심(自由心)

    1) 개념

    한울과 만물은 비지 않고 끊기지 않으며, 도 또한 멈추지 않는다.

    성품과 이치는 시작과 끝이 없으며, 마음 한 가닥으로 모든 것을 헤아린다.

    2) 장애와 극복

    마음으로 특정 상태를 의도하면 그것이 장애가 된다.

    마음의 장애(, , , 비움 등)를 벗어나야 자유를 얻는다.

    3) 결론

    성품과 마음이 자유로워지면 도는 끝이 없으며, 세상은 지속되고, 사람들은 자유를 깨닫게 된다.

    살고 죽는 것, 선악, 희노애락 모두에 매이지 않고 자유롭게 행하며 거리낌 없이 살아가는 것이 천체의 공도공행이다.

     

    5. 일체 장애의 극복

    1) 장애의 본질

    성인도 큰 장애가 될 수 있으며, 세상도 작은 장애가 된다.

    장애를 제거하지 않으면 도에 이를 수 없다.

    2) 극복 방법

    일체 장애를 낡은 옷을 벗듯 제거하고 빠르게 나아가라.

    자유와 극락을 추구하며 공도와 공용을 이루어야 한다.

     

    6. 결론

    1) 삼심관은 허광심(虛光心), 여여심(如如心), 자유심(自由心)이라는 세 단계의 마음 수련 과 정을 통해 도를 완성하도록 안내한다.

    2) 각 단계는 성품과 마음의 본질을 깨닫고 모든 장애를 극복하여 자유롭고 거리낌 없는 삶 을 추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