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 體 法 經 (무체법경)-4) 견성해(見性解) 핵심 정리
페이지 정보

본문
1. 성품과 마음의 관계
1) 성품과 마음의 위치와 본질
성품과 마음은 내 것이나 보려 해도 볼 곳이 없고, 지키려 해도 지킬 터전이 없음.
내 성품과 마음은 물건에 응하되 자취가 없으니, 성품과 마음의 본질은 형상과 자취를 초월함.
2) 성품과 마음의 상호작용
마음을 물건 밖에 두면 무형의 이치한울(정 없는 천지).
마음을 물건 안에 두면 정 있는 마음한울(천지의 만상).
성품과 마음은 서로 상호작용하며 본질적으로 영묘와 영적을 포함함.
2. 성품과 마음의 깨달음
1) 깨달음의 좌우 방향
깨달음의 왼쪽은 성품한울과 이치한울.
깨달음의 오른쪽은 마음한울과 몸한울.
영은 내 성품과 몸에서 나오는 것이며, 성품과 몸이 없으면 이치도, 한울도 없음.
2) 성품과 마음의 주재적 역할
성품과 마음은 천지, 고금, 세계의 거울이자 주재자.
마음은 모든 존재와 조화를 주재하며, 마음 밖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음.
3. 마음의 역할과 기능
1) 성품과 이치의 중심
성품과 이치를 깨닫고자 할 때, 그것은 마음에서 구해야 함.
조화를 활용하고자 할 때도 마음에 의존해야 함.
2) 천지만물의 저울로서의 마음
마음은 천지와 만물의 균형을 이루는 저울과 같음.
마음은 기록과 주재의 역할을 하면서도 무게가 없고 형식에 얽매이지 않음.
4. 요약
1) 성품과 마음은 통합된 주재자: 성품은 정적인 본질, 마음은 동적인 작용으로, 두 요소는 함께 모든 것을 주재함.
2) 마음의 중요성: 마음이 모든 조화와 운용의 중심이며, 마음 밖에는 한울, 이치, 물건, 조화가 없음.
3) 깨달음의 핵심: 자신 안에서 성품과 마음을 깨닫고 주재자로서의 역할을 인식하는 것이 도의 본질임.
5. 결론
1) 견성해는 성품과 마음의 상호작용과 본질을 통해 깨달음을 얻고, 마음을 중심으로 천지와 만물을 주재하며 조화를 이루는 도의 핵심을 설명한다.
2) "모든 것이 마음에 있고, 마음이 모든 것을 이루고 주재한다"는 통찰을 강조한다.
- 이전글無 體 法 經 (무체법경)-5) 삼성과(三性科) 핵심 정리 25.04.13
- 다음글원음방송 (FM 89.7 MHZ) 박인준 교령 취임 인터뷰 25.04.0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