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 體 法 經 (무체법경)-3) 신통고(神通考) 핵심 정리
페이지 정보

본문
1. 천황씨의 의미와 성품과 마음의 위치
1) 천황씨의 의미
대신사가 천황씨를 자처한 것은 한울 위에 있다는 뜻이 아니며, 성품을 깨닫고 마음을 이해 해 삼계천의 가장 높은 한울에 위치한다는 뜻.
2) 성품과 마음의 두 방향
무형천(空空寂寂): 고요하고 비움의 세계.
유정천(圓圓充充): 풍요롭고 가득한 세계.
습관천(塵塵濛濛): 세속적 습관의 세계.
2. 깨달음과 신통력
1) 성품과 마음의 깨달음
모든 사람은 성품과 마음을 통해 한울과 연결됨. 깨달은 자는 천황씨라 불리고, 깨닫지 못 한 자는 범인이라 함.
깨달음은 자기 마음과 정성에 의존하며, 외부 권능에 의존하지 않음.
2) 신통력의 자연성
신통력은 성품과 마음을 수련한 결과로 자연스럽게 발생.
이를 비방하는 것은 철학적 협소함에서 비롯됨.
3. 마음과 성품의 역할
1) 성품의 본질
비고 고요하며 무한하고 불생불멸의 원리.
2) 마음의 작용
변화와 조화를 일으키는 작용으로, 생각과 행위를 통해 모든 것을 구현.
3) 두 요소의 상호작용
성품과 마음이 서로 조화를 이룰 때 조화와 변화가 무쌍하게 이루어짐.
4. 도의 본질
1) 도는 내면에 있다
도는 멀리 있지 않고 자기 마음속에 있음. 마음을 바로 세우는 것이 도를 찾는 길.
2) 도구적 깨달음
마음이 깨끗하고 정직하면 올바른 길로 인도되고, 삐뚤어지면 잘못된 길로 인도됨.
5. 사랑과 도의 실현
1) 상호 사랑의 중요성
사람이 서로 사랑하면 대도를 이루고 영적인 성취에 이를 수 있음.
성․심․신 삼단이 상호 협력하고 사랑해야 대도의 근본이 됨.
2) 마음과 한울의 일치
마음이 멀리 가거나 한울이 와도 궁극적으로 마음속에서 도를 찾아야 함.
6. 성품과 마음의 활동
1) 성품의 비밀 기틀
성품은 고요하지만 큰 활동의 동기가 내재되어 있음.
모든 만물은 이 기틀에 따라 조화를 이루고 활동함.
2) 마음의 역할
마음은 작은 활동의 기관으로, 성품의 본질을 기반으로 움직이며, 천지와 만상의 중심이 됨.
7. 결론
1) 신통고는 성품과 마음, 몸의 조화를 통해 도를 깨닫고, 자기 내면에서 한울과 연결되는 깨달음을 강조한다.
2) 이 깨달음은 성․심․신의 균형을 통해 이루어지며, 상호 사랑과 정성을 통해 대도를 구현하 는 것이 핵심이다.
- 이전글원음방송 (FM 89.7 MHZ) 박인준 교령 취임 인터뷰 25.04.09
- 다음글無 體 法 經 (무체법경)-2) 성심신 삼단(性心身 三端) 핵심 정리 25.04.0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