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를 즐기기 위한) 한문 읽기 입문 1
페이지 정보
본문
첫째 마당 ― 한자를 외우자
요즘 세대들은 한자를 못 읽는 사람이 많다. 우리 나라 언어생활에서 한자를 몰라도 특별히 불편한 일은 없으나, 한자 문화권인 우리 나라는 옛날부터 한자를 써 왔기 때문에 한자의 지식이 있으면 여러 가지 재미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시도 한자를 알고 읊으면 두 배 세 배 깊숙이 그 멋을 즐길 수 있다.
(1) "한자"와 "한문"은 다르다
우리 나라에서는 "한자"란 말과 "한문"이란 말을 혼동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 두 가지 단어는 뚜렷이 구별을 하는 것이 낫다. "한자(漢字)"는 그 문자 자체를 지칭하며 "한문(漢文)"은 한자로 쓴 글 문장, 즉 고대 중국어의 문장을 지칭한다. 따라서 보통 "한문을 안다"라고 할 때, 사실은 "한문"을 아는 것이 아니라 "한자"를 아는 것이다.
(2) 한자 읽기는 의외로 쉽다
한자는 일단 옥편을 찾으면 그 소리와 뜻을 쉽게 알 수 있다. 그렇지만 한자를 볼 때마다 옥편을 찾는 것도 번거로우니까 되도록이면 많은 한자를 기억하는 것이 낫다. 최저한, 글자가 복잡하지 않은 한자는 어느 정도 알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자를 외울 때 마구 외워가면 너무 힘들다. 이왕이면 최소한의 노력으로 최대한의 성과를 얻게 외우고 싶다. 다행히도 한자는 그렇게 외우는 길이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구리 銅"자를 보자. 銅자는 "동"이라고 발음한다. 이 銅자의 소리 "동"은 그 한자 속에 들어 있는 同자와 같은 발음이다. 어떻게 되어 있느냐면 銅자는 그 속에 있는 同자 소리를 빌려서 "동"이라고 발음을 하는 것이다. 이렇게 그 한자의 소리를 나타내는 부분을 음부(音符)라고 한다. 그리고 銅자에서 음부인 同자를 뺀 나머지 金자 부분이 이 한자의 뜻을 나타내는 부분으로, 이것을 의부(意符)라고 부른다. 구리는 금속이기 때문에 金자가 들어가 있는 셈이다. 이와 같이 한쪽이 소리를 나타내고 다른 쪽이 뜻을 나타내는 한자 구성원리를 "형성(形聲)"이라고 하는데, 한자의 80%는 이 형성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그러니까 모르는 한자가 나오면 그 한자의 어느 부분이 소리를 나타내는지를 알면 그 한자 소리는 대략 추측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유감스럽게도 한자의 음부 부분이 바로 그 한자의 소리가 되지 않을 경우도 종종 있다. 예를 들면 "통 筒(통)"자는 同자가 들어 있지만 소리는 "동"이 아니라 "통"이다. 그렇긴 하지만 "동"과 "통"을 보아도 알 수 있듯이 소리가 다르다고 해도 대부분의 경우는 비슷한 소리로 바뀌기 때문에 외우기 어렵지 않을 것이다.
형성자의 예를 여러 가지로 들어 보자.
同(동) → 桐(동), 銅(동), 洞(동, 통), 筒(통)
僉(첨) → 儉(검), 劍(검), 檢(검), 驗(험), 險(험)
可(가) → 哥(가), 歌(가), 苛(가), 何(하), 河(하), 荷(하)
列(렬) → 烈(렬), 裂(렬), 例(례: "ㄹ"받침이 "ㅣ"로 변했음)
倉(창) → 創(창), 蒼(창), 槍(창), 滄(창), 瘡(창)
자, 이 원리만 알게 되면 일단 (한자 뜻은 몰라도) 한자를 읽을 수는 있게 된다.
어느 쪽이 소리며 어느 쪽이 뜻이냐를 가려내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일반적으로 부수가 되어 있는 부분은 뜻을 나타낸다. 삼수변이나 갓머리 등은 뜻을 나타내는 것이다. 그러고 보니 바다 海(해), 호수 湖(호), 물방울 滴과 같은 한자는 다 물에 관한 한자이고 집 家(가), 묵을 宿(숙), 집 宅(택)과 같은 한자는 다 가옥에 관한 한자다. 그렇게 생각하면 "넓을 浩(호)"자가 원래 바다나 호수가 넓은 모양을 나타내는 말이라는 것까지 짐작할 수 있다.
(3) 한자 뜻은 한자어를 활용하라
한자를 그저 읽는 것은 그리 어렵지는 않으나 뜻은 읽기보다 어려울 것이다. 그렇지만 이것도 옥편을 마구 찾기보다 자기가 알고 있는 한자 지식을 활용하는 것이 더 편하다. 그 지식인즉, 평소에 많이 쓰고 있는 한자어다. 물론 이 활용법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우선 한자를 읽을 줄 알아야 한다. 예를 들어 "報(보)"란 한자의 뜻을 알고 싶을 때, 이 報자가 들어 있는 한자어를 생각해 보면 된다. 그러면 "報告(보고)"란 단어로부터 이 한자가 "알리다"란 뜻을 갖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報答(보답)"이란 단어로부터 "댓가를 갚다"란 뜻도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手榴彈(수류탄)"이란 단어는 정말로 재미있는 말이다. 손 手자에 석류 榴, 그리고 탄알 彈을 합친 이 말은 "손으로 던지는, 석류 같이 생긴 폭탄"이란 뜻이다. 평소에 쓰는 단어를 이용해서 한자 뜻을 알자는 것이니 이보다 더 편하고 돈이 안 드는 방법이 있을까?
이렇게 한자어를 활용하면 의외로 재미있는 사실을 만날 경우도 있다. "報道(보도)"에서 왜 "길 道"자가 쓰이는지 너무 궁금한데, 옥편을 찾아보면 道자의 뜻으로 "말하다"가 있다. 결국 "報道"의 뜻은 "알리고 말하다"인 것이다. 이런 발견이 있으면 한문에서 나오는 "休道(휴도)"란 구가 "말하기를 멈추다"의 뜻이라는 것도 금방 이해할 수 있다.
- 이전글(한시를 즐기기 위한) 한자 읽기 입문 2 19.08.20
- 다음글[보도자료] 항일자주독립정신으로 대한민국 100년을 지켜온 청년단체 시국선언 19.08.1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