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천도교
로그인 회원가입

동학입문요결8(주문수련呪文修練의 비밀 : 거경居敬과 분석심리학) > 자유게시판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 천도교소식
  • 자유게시판
  • 천도교소식

    자유게시판

    동학입문요결8(주문수련呪文修練의 비밀 : 거경居敬과 분석심리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금주연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3,559회   작성일Date 22-06-12 11:37

    본문

    주문수련呪文修練의 비밀(거경居敬과 분석심리학)

     

    1. 대신사님의 주문은 선비유교의 대중화

      원효元曉는 신라 귀족들의 전유물이던 8만 대장경의 불교를 대중화하여 관세음보살의 다섯 글자를 염하는 염불수행念佛修行을 강조하였다. 수운 대신사님은 조선시대 선비들의 전유물이던 13경의 유교를 대중화하여 3·721자 주문수련을 창안하셨다.

     

    2. 주문수련呪文修鍊은 보편적 기도방법

      주문수련을 무슨 이상한 수련으로 생각하고 어떤 단체나 모임에서는 주문수련을 기피하기도 한다. 주문수련은 세계 종교상으로 보아도 보편적인 기도방법이다. 티벳불교나 한국의 진각종眞覺宗에서는 육자대명왕진언六子大明王眞言이라는 옴 마니 반메 훔唵麽抳鉢銘吽이라는 여섯 글자를 되풀이하여 외운다. 한국의 조계종 수행법으로 간경看經·절하기·염불念佛·참선參禪·주력呪力·사경寫經 등이 있는데 주력과 염불수행이 바로 주문수련과 비슷하다. 천주교에서도 묵주알을 돌리면서 주님의 기도 1회와 성모송 10를 반복하며 되풀이하는 묵주기도도 주문수련의 일종이다.

     

    3. 유교의 핵심수련방법인 거경居敬

      유교의 정좌법靜坐法, 정려법靜慮法, 거경居敬은 사서의 한 권인 대학에 추상적으로 6단계의 방법론이 제시되어 있으나 한나라 이래 불교의 융성으로 대학의 방법론은 더 이상 발전할 수 없었다. 남송시대에 와서 주자朱子마저도 선불교의 영향을 받아 용어만 정좌靜坐, 정려靜慮에서 거경居敬으로 바뀌었을 뿐 불교의 간화선과 차별이 거의 없는 실정이다. 어찌 되었든 이러한 중국 송나라의 성리학을 퇴계退溪는 독창적으로 사단칠정설四端七情說의 조선 유학으로 발전시켰으며 영남학파의 최고봉이 되었다. 대신사님의 부친인 근암공 최옥 또한 퇴계를 정통으로 계승한 영남학파의 거두였다. 퇴계는 선조에게 바친 성학십도에서 을 지속하는 것은 생각과 배움을 겸하고 동정動靜을 일관하며 안팎을 합치시키고 드러난 것과 은미한 것을 일치시키는 방법(持敬者 兼思學 貫動靜 合內外 一顯微之道也)’으로 유교 최고의 수련법임을 강조하였다.

      퇴계가 이렇게 강조했던 유교의 핵심인 거경居敬의 내용은 성학십도 제9경재잠도敬齋箴圖에 고스란히 담겨있다. 그 그림은 노재魯齋 왕백王栢이 주자의 경재잠敬齋箴을 보고 그린 것이다. 이것을 간략히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잠심이거대월상제潛心以居對越上帝이니 명상瞑想으로 잠심潛心하여 하느님을 만나는 것. 출문여빈出門如賓이니 집밖을 나서면 만나는 모든 사람을 손님처럼 대하는 것. 승사여제承事如祭이니 직장이나 직업에서 하는 일을 제사처럼 하는 것이다. 거경居敬이란 유교의 핵심적 수련방법으로 결국 가장 중요한 하느님의 정체성을 깨닫는 것이니 2강령 3조목을 종합한 수련이라는 것이다 거경의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성성적적惺惺寂寂 : 초롱초롱하게 깨어서 고요함을 유지하는 것

         ② 주일무적主一無適 : 주문·문자·사건 등 한 가지 일에 집중하는 것

         ③ 정제엄숙整齊嚴肅 : 자신의 모습을 단정하게 유지하는 것

                ⚬엉덩이 : 매트·방석·이불 위에 앉아(뒤를 약간 높게 해도 좋다)

                ⚬: 결가부좌結跏趺坐·반가부좌半跏趺坐·평좌平坐

                ⚬허리 : 곧게 펴고

                ⚬어깨 : 귀보다 뒤쪽으로 젖히고

                ⚬: 양 무릎 위에 놓거나 손을 포개어 단전 앞에 둔다

                ⚬: 반은 뜨고 반은 감으면서 시선은 코끝이나 감긴 부분에 둔다

                ⚬머리 : 반듯이

                ⚬호흡 : 들숨과 날숨을 자신의 단전호흡에 맞추어 고요히

     

    4. 동학東學의 주문수련呪文修鍊은 퇴계의 거경居敬을 민중화한 것

      이러한 유교의 거경居敬 정좌법靜坐法은 선비들처럼 독서능력이 있거나 시간적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나 하는 것으로, 예산에 있는 추사秋史 김정희金正喜의 고택 주련에 적힌 "반나절은 고요히 앉아 명상하고, 반나절은 책을 읽는다(半日靜坐 半日讀書)“라는 말처럼 책을 읽고 그 내용을 명상하는 어렵고 힘든 엘리트 위주의 방법이다.

      대신사님은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여 독서능력이나 시간적 여유 또는 계층에 관계 없이 남녀노소 누구나 손쉽게 간단히 할 수 있는 간이簡易한 대중적 거경방법을 찾았으니, 이것이 바로 주문수련법이다

      이러한 거경 정좌법이나 주문수련이나 이 두 방법은 모두 대학의 6단계라는 수련의 과정(지지知止 --> --> --> --> --> )을 동일하게 밟게 된다. 의 지지知止는 인생의 목표와 방향(2강령)을 알고 세우는 것 의 정은 결정결심決定決心을 하는 것 의 정은 고요해지는 것 의 안은 안락安樂해지는 것 의 려는 생각하는 것 의 득아하!“하는 앎·깨달음, 즉 지혜智慧·통찰력通察力·영감靈感 등으로 문제해결 능력이 나타나는 것이다. 의 과정은 입지立志라는 것으로 동학은 이미 대신사님의 주문으로 인생의 방향과 목표가 신령이 되자는 동귀일체·무극대도의 인생관이 정해져 있는 것이다. 동일한 과정이지만 동학은 여기에서 머물지 않고 더 나아가 유교에서 금기시하는 초능력을 발휘하기도 하니 강령降靈, 강화降話, 영부靈符와 같은 더 적극적인 초능력적 해결방법이 나타나기도 한다. 동학농민혁명에서 최소한 30만 이상의 순국열사殉國烈士가 발생한 것은 주문수련에 의한 죽음을 뛰어넘는 그 무엇인가의 영적인 힘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주문수련은 불가능을 가능하게 하는 수련방법임이 역사적으로 증명된 것이며, 고조선 이래의 고유한 우리의 수련법이다.

     

    5. 주문수련은 한국인의 전통적인 노래가락

      삼국지三國志 위지魏志 동이전東夷傳백성은 노래하고 춤추기를 좋아했다(민희가무民喜歌舞), 서로 모여 노래하고 연극했다(상취가희相就歌戱), 길을 가면 하루 종일 노래소리가 끊어지지 않았다(行道晝夜無老幼皆歌通日聲不絶)” 등의 기록을 보면 고조선의 후예인 동이족의 일상은 노래와 춤이었음을 간접적으로 알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