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천도교
로그인 회원가입

동학 역사(경인-계사년, 1890-1893년) > 자유게시판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 천도교소식
  • 자유게시판
  • 천도교소식

    자유게시판

    동학 역사(경인-계사년, 1890-1893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김재덕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1,261회   작성일Date 15-02-06 16:27

    본문

    제가 심고(心告) 가운데 식고(食告)에 대하여 찾다가 발견한 자료입니다.




    번역 : 김낙철
    (金洛喆)


    경인년(庚寅年, 1890) 6월 7일에 동생 낙봉(洛葑)과 함께 동학에 입도(入道)하였다. 
    6월 17일에 동생 낙주(洛柱)가 종제(從弟)인 낙정(洛貞)·낙용(洛庸)과 함께 입교(入敎)한 뒤에 7월부터 점차로 포덕(布德)을 해서 신묘년(辛卯年, 1891) 3월에 이르러 신도수가 몇 천 명이 되었다. 

    해월(海月 )선생님께서
     구암(龜菴)·장백원(蔣伯元)·장희용(張喜用)·최덕기(崔德基)와 함께 공주(公州) 보평(湺平)으로 이사를 하셨는데, 집의 주인은 윤상오(尹相五)였다. 
    동생 낙봉·김영조(金永祚)·손화중(孫化中)과 함께 여러 번 가서 문안을 할 때에 선생님께서 분부하시기를, “천심(天心)을 잃지 않고
     식도(食道)를 미리 갖추고 기를 바르게 하는 것[正氣]이 가장 어렵다. 또한 먹는 것이 하느님이다”라고 하셨다. 

    7월경에 선생님께서 구암·장백원·장희용·최덕기를 인솔해서 부안(扶安) 신리(新里) 윤상오의 소실(小室) 집으로 오시자 교도(敎徒) 수백 명이 모였다. 
    다음날 옹정(瓮井) 김영조의 집에 가셨는데, 마침 큰비가 내렸다. 
    선생님께서 측간에 가실 때 가죽신을 신지 않고 왕래하셨으나 짚신에 물 한 방울 묻지 않았다. 
    건넌방에서 어떤 교인이 연죽(烟竹)을 두들기는 소리가 있어 구암어른께서 엄중히 금지시켰다.
     

    다음날 태인(泰仁) 동곡(洞谷)의 김낙삼(金洛三)의 집으로 떠나실 때에 선생님께서 말씀하기를, “부안(扶安)에 꽃이 피고 부안에 열매가 맺힐 것이다”라고 하였다. 

    임진년(壬辰年, 1892)과 계사년(癸巳年, 1893) 사이에 포교(布敎)를 하여 신도수가 몇 만 명에 이르렀다. 
    계사년 3월에
     대선생님(大先生主)의 신원(伸寃)을 하러 동생 낙봉이 김영조와 교도 몇 백 명과 함께 서울에 갔으나 대선생님의 억울함을 풀어드리지 못하고 돌아왔다. 
    그 때 나는 도내(道內)의
     도도집(都都執)을 맡고 있었다. 
    이때부터 각 도(道)와 각 읍(邑)에서 지목(指目)이 크게 일어나 붙잡힌 자와 죽음을 당한 자가 이루 셀 수가 없었다. 
    그러나 나는 그들의 지목을 두려워하지 않고 중문(中門)을 열어 선약(仙藥)으로 병을 구제하는 일을 하며 3∼4년 동안 별 탈 없이 포교를 하였다.


    http://www.e-donghak.go.kr/sa/listDetSa.jsp?pLevel=3&pDatabaseID=prd_0036r&pRecordID=prd_0036r_001

    구암(龜菴) : 김연국(金演局)의 호. 
    최시형은 만년에 김연국에게 구암, 손병희에게 의암(義菴), 
    손천민에게 송암(松菴)이란 호를 지어주고 3대 제자로 삼았다. 
    김연국은 최시형이 죽고 난 뒤, 시천교를 창시해 친일행각을 벌였다.


    식도(食道) : 
    동학에서는 먹는 일을 한울님으로 여기며 하나의 도라고 했다. 
    그래서 밥을 먹을 때 감사를 드리는 식고(食告)를 했다.


    태인(泰仁) 동곡(洞谷) : 
    동곡(洞谷)은 동곡(銅谷)의 오자. 
    주민들은 지금실이라 부른다. 
    동학농민군 3대 지도자인 김개남의 태생지요 거주지로 유명했다.


    대선생님(大先生主) : 
    동학에서는 1세 교주 최제우를 대선생 또는 대주인, 
    2세 교주 최시형을 선생 또는 주인이라 불렀는데 
    시천교와 천도교로 개편되었을 때 대신사와 신사로 바꾸어 불렀다. 
    시천교에서는 최제우를 천사, 최시형을 대신사라 하기도 했다.


    도도집(都都執) : 
    동학의 육임제(六任制)에서 도집강을 맡았음을 알려주고 있다.


    234D604554D46B0B09F604


    2340304554D46B0B1AD21D


    252C2C4554D46B0C32F6CF


    2746E94554D46B0C11BE83


    2643DE4554D46B0C1629D5


    2553A64554D46B0D0101A9

    http://www.e-donghak.go.kr/sa/dualView.jsp?pLevel=3&pDatabaseID=prd_0036&pRecordID=prd_0036_00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