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천도교
로그인 회원가입

해월신사 법설「修道法」에서 언급되는 誠 개념 분석 > 자유게시판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 천도교소식
  • 자유게시판
  • 천도교소식

    자유게시판

    해월신사 법설「修道法」에서 언급되는 誠 개념 분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문상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63회   작성일Date 25-03-28 20:50

    본문

    「修道法」에서 언급되는 誠 개념 분석


    1. 서론


    동학에서 誠(성)은 인간과 한울의 합일을 이루는 핵심적 덕목으로, 修道(수도)의 근본적인 실천 원리로 제시된다. 본 논문에서는 「修道法」에 언급된 誠의 개념을 중심으로, 그것이 지닌 철학적 본질과 실천적 의미를 분석하며, 修道 과정에서 誠이 지니는 역할과 의의를 논의한다.


    2. 誠의 정의와 본질


     1) 심리적 진정성과 지속적 실천으로서의 誠

    誠은 진정성과 지속적인 실천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덕목으로 제시된다. 단순한 외적 행위에 머물지 않고, 내면의 정성과 마음의 진리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誠은 완성된다.

    "只誦呪而全不窮理則不可"

    주문을 외우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이치를 탐구하는 과정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2) 한울과의 합일로서의 誠

    誠은 인간과 한울의 관계를 규정하는 개념으로, 인간이 한울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존재임을 자각하는 데서 비롯된다.

    "我是天天是我也 我與天都是一體也"

    내가 한울이고 한울이 나니, 나와 한울은 하나의 기운과 한 몸으로, 서로 분리될 수 없는 관계이다.


    3. 誠의 실천적 의미


     1) 성경외심(誠敬畏心)과 마음의 정화

    誠은 경외심(敬畏心)과 결합하여 修道 과정에서 물욕을 제거하고 마음을 정화하는 원리로 작용한다.

    "誠敬畏心四字 成物後克復赤子心之路程節次也"

    물질적 욕망을 극복하고 갓난아이의 순수한 마음을 회복하는 과정이 誠의 실천적 의미이다.


     2) 사람과 사물에 대한 태도

    誠은 단지 내적 수양에 그치지 않고, 사람을 대하고 사물을 접하는 모든 행동에서 실천된다.

    "誠敬畏心待人接物萬事天也"

    대인접물에서 誠과 敬을 실천하는 것이 곧 한울을 따르는 것이다.


     3) 修道와 誠의 관계

    修道의 성공 여부는 誠에 의해 결정된다. 이는 기운과 마음의 바름(正氣와 定心)에 의해 이루어진다.

    "道之成不成 都在於氣心之正如何矣"

    도의 성취는 기운과 마음의 바름에 달려 있다.


    4. 誠의 철학적 의의


     1) 명덕명도(明德命道)의 실현

    誠은 명덕명도(明德命道)의 원리를 통해 인간과 한울의 관계를 형성한다. 이는 한울의 이치가 인간 내면에서 구현되는 방식으로 설명된다.

    "明德命道四字 天人成形之根本也"

    명덕명도는 한울과 인간이 형상을 이루는 근본이다.


     2) 천지와의 합일

    誠은 천지의 기운과 덕에 합일함으로써 지극한 성인의 경지에 도달할 수 있는 기반이다.

    "至大至天至化至氣至於至聖 摠是我也"

    도리를 깨달아 천지와 조화롭게 합일하는 것이 곧 성인의 경지에 이르는 길이다.


     3) 수양의 절차와 誠

    誠은 修道의 절차적 과정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단계를 통해 점진적으로 완성된다.

    "至化至氣至於至聖之節次路程也"

    지기와 화합하여 성인의 경지에 이르는 절차적 과정이 誠의 본질이다.


    5. 誠과 自我의 관계


     1) 自我와 한울의 일체성

    誠은 자아와 한울이 일체라는 자각에서 시작되며, 修道의 실천을 통해 자아와 한울이 더욱 깊이 연결된다.

    "我外豈有他天乎"

    나 외에 어찌 다른 한울이 있겠는가.


     2) 물욕 제거를 통한 자아 완성

    誠은 물질적 욕망을 제거하고 내면을 정화함으로써 자아의 완성을 가능하게 한다.

    "除去物慾透得道理則 至大至天至化至氣至於至聖 摠是我也"

    물욕을 제거하고 도리를 깨달으면 천지와 합일할 수 있다.


    6. 결론


     「修道法」에서 제시된 誠의 개념은 인간과 한울의 본질적 합일을 이루는 데 필수적인 덕목이다. 誠은 단순히 마음의 정성과 수양을 넘어, 사람과 사물을 대하는 태도, 그리고 천지의 조화에 이르는 길을 열어준다. 修道 과정에서 誠은 명덕명도의 구현과 자아 완성의 핵심 원리로 작용하며, 궁극적으로 성인의 경지에 도달하게 한다.

     결론적으로, 誠은 개인적 수양과 우주적 조화, 그리고 사회적 실천을 연결하는 철학적 기반으로, 동학 사상의 중심적 위치를 차지하며 현대적 실천 철학으로도 유의미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