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천도교
로그인 회원가입

해월신사 법설「篤工」에서 언급되는 誠 개념에 대한 분석 > 자유게시판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 천도교소식
  • 자유게시판
  • 천도교소식

    자유게시판

    해월신사 법설「篤工」에서 언급되는 誠 개념에 대한 분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이문상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106회   작성일Date 25-03-26 14:35

    본문

    「篤工」에서 언급되는 誠 개념에 대한 분석


    1. 서론

    誠(성)은 동학에서 인간 수양의 근본이자, 도를 이루는 중심 개념으로 강조된다. 본 논문은 「篤工」에서 언급된 誠의 개념을 중심으로, 그 철학적 본질과 실천적 의미를 분석하고, 도통(道通)을 이루는 과정에서 誠의 역할과 중요성을 고찰한다.


    2. 誠의 정의와 본질

     1) 끊임없는 노력으로서의 誠

    誠은 한결같은 노력과 꾸준한 실천을 통해 도달할 수 있는 덕목으로 제시된다. 이는 단순한 결심이나 일회적인 행위가 아니라, 지속적이고 헌신적인 마음공부를 의미한다.

    "篤工而不成者 未之有也"

    독실하게 공부해서 이루지 못할 것은 없다는 점은 誠의 실천적 본질을 드러낸다.


     2) 일상의 삶과 誠의 연결

    誠은 물을 마시거나 밥을 먹는 일과 같이 필수적이고 일상적인 행위에 비유되며, 내면적 수양이 삶의 기본적인 요구와 밀접히 연결됨을 보여준다.

    "道之一念如飢思食 如寒思衣 如渴思水"

    도를 생각하는 마음이 굶주림에 밥을 찾듯이 지속적이고 자연스러워야 한다.


    3. 誠의 실천적 의미


     1) 학문과 행동에서의 誠

    배우는 것(學), 묻는 것(問), 행하는 것(行)의 모든 과정에서 誠은 독실함(篤)을 요구하며, 이는 도달 가능한 성과를 결정짓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한다.

    "學則必博 問則必審 行則必篤"

    배우기를 넓게, 묻기를 자세히, 행하기를 독실하게 함으로써 誠의 실천적 역할이 완성된다.


     2) 정성과 믿음의 관계

    誠과 信(믿음)은 상호보완적 관계로 작용하며, 둘 중 하나라도 결여되면 도를 이루기 어렵다.

    "有誠有信則 轉石上山可易 無誠無信則 轉石下山亦難矣"

    정성과 믿음이 있으면 어려운 일도 이루기 쉽지만, 없으면 쉬운 일조차 어렵다.


    4. 誠과 도통의 관계


     1) 마음의 정함과 誠

    誠은 마음의 정함(心之定)을 통해 도통의 가능성을 열어준다. 옛 성현의 위대함은 남다른 자질이 아니라 마음을 정할 수 있는 능력에 달려 있다.

    "只在心之定不定矣"

    마음의 정함과 정하지 못함에 따라 요순과 공맹의 도를 행할 수 있다.


     2) 천지와의 합일로서의 誠

    誠은 천지의 덕과 합일하는 경지를 통해 비로소 도통의 완성을 이룬다. 이는 단순히 약간의 깨달음을 얻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천지의 조화를 구현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與天地合其德 能行天地造化然後 方可謂之道通也"

    천지와 덕을 합하고 조화를 이루어야 도통이라 할 수 있다.


    5. 誠의 장애 요인


     1) 사사로운 욕심과 방해

    誠은 사사로운 욕심, 물건, 영화 등을 버릴 때 비로소 온전히 실현될 수 있다. 이는 내면적 장애를 극복하고 본래의 순수성을 회복하는 과정이다.

    "絶其私慾 棄其私物 忘其私榮以後 氣聚神會豁然有覺矣"

    사사로운 것들을 끊은 뒤에 기운과 신이 모여 깨달음이 이루어진다.


     2) 작은 이익에 얽매임

    誠은 단기적인 이익에 사로잡히지 않고, 큰 이익을 바라보는 안목을 요구한다. 작은 이익만을 추구하면 도통의 본질을 깨닫기 어렵다.

    "人知小利不知大利 可嘆可惜也"

    작은 이익만 알고 큰 이익을 알지 못하는 것은 탄식스러운 일이다.


    6. 결론


    篤工에서 제시된 誠의 개념은 단순히 정성을 드리는 것을 넘어, 지속적 노력과 내면적 수양, 그리고 천지와의 조화를 통해 인간의 완성을 가능하게 하는 중심 덕목이다. 誠은 개인의 마음공부와 사회적 실천을 조화롭게 연결하며, 도통에 이르는 길을 여는 핵심 원리로 작용한다. 특히, 誠은 信과의 상호보완적 관계 속에서 실현되며, 사사로운 욕심과 장애를 제거함으로써 그 완전성을 이룰 수 있다. 결론적으로, 誠은 인간 삶의 근본적인 가치와 우주적 조화를 동시에 추구하는 동학 사상의 핵심이며, 현대적 의미에서도 깊은 통찰을 제공하는 철학적 자산이라 할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