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천도교
로그인 회원가입

종지를 통해서 본 천도교 > 천도교개관(한글)

회원메뉴

쇼핑몰 검색

  • 천도교
  • 천도교개관(한글)
  • 천도교

    .

    천도교 소개

    페이지 정보

    본문

    종지를 통해서 본 천도교

     

    천도교의 종지가 되는 ‘인내천’은 대신사의 ‘시천주’에 그 연원을 둔 것으로, 천도교는 인간과 자연과 신이 모두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는 ‘우주 공동체의 삶’을 지향하는 종교라고 할 수가 있다.



    천도교의 종지(宗旨)는 ‘인내천(人乃天)’이다. 곧 ‘사람이 이에 한울’이라는 뜻이다. 이러한 천도교의 종지는 천도교의 3세 교조인 의암성사 때에 부각된 것으로, 오늘까지 천도교 종단(宗團)의 종지가 되고 있다.


    이 ‘인내천’은 의암성사 시대에 정해진 종단의 종지이지만, 대신사가 천명(闡明)한 ‘시천주(侍天主)’에 그 근원을 둔 것으로, 천도교의 종교적 핵심을 나타내는 말이기도 하다. 대신사는 포덕 1년(1860) 4월 5일 결정적인 종교체험을 통하여 한울님이라는 절대적 신이 다른 어느 곳에 있는 것이 아니라, 바로 사람들 몸에 주체적으로 모셔져 있음을 깨닫게 된다. 바로 이와 같은 깨달음과 함께 ‘내 몸에 한울님을 모셨다’는 의미의 ‘시천주(侍天主)’를 가장 중요한 가르침의 요체로 삼게 된다.


    따라서 선천(先天)의 기성종교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현세와 천당·지옥이 다른 차원의 공간이나 세계에 존재하는 것도 아니요, 극락과 연옥·지옥이 별도의 세계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한울님 모심’을 마음으로 깨닫느냐, 못 깨닫느냐에 따라 그 삶이 천당도 되고 또 지옥도 된다는 것, 이것이 곧 그 요체인 것이다. 아울러 한울님이라는 신은 어디 먼 초월적인 공간에 계신 것이 아니라, 바로 우리 몸에 모셔져 있으며, 동시에 이 우주에 편만(遍滿)되어 있다는 것이 대신사의 가르침이다.


    이와 같은 대신사의 가르침이 집약되어 나타난 낱말이 곧 ‘시천주’라는 말이다. 따라서 이 ‘시천주’라는 말씀은 천도교의 종교적 가르침을 나타내는 핵심 어휘가 되는 것이다. 그런가 하면 이 시천주의 가르침은 종교적 차원을 뛰어넘어 대사회적(對社會的)인 면에서, 모든 사람들이 본원적으로 한울님을 모시고 있으니 본원적인 면에서 모두가 평등하다는 근원적 평등주의를 내포하고 있다. 양반과 천민이 사회적 신분제도에 의하여 차별되고 있던 당시 조선조의 사회제도로 볼 때에 이러한 대신사의 가르침은 가히 혁명적인 것이 아닐 수 없었다. 이러한 근원적 평등주의는 법 앞에서 평등을 강요하는, 또는 신 앞에서 평등을 강요하는 서구적 평등주의를 뛰어넘는 것으로, 새로운 개벽의 지평을 여는 매우 자생적이며 근원적인 평등주의가 아닐 수 없는 것이다.


    대신사에 의하여 천명(闡明)된 ‘시천주 사상’은 해월신사에 이르러 ‘사람이 곧 한울’이라는 ‘인시천(人是天)’으로 표명된다. 그러므로 사람이 곧 한울이니 ‘사람 섬기기를 한울님 같이 하라’는 ‘사인여천(事人如天)’의 사회적 윤리로 발전, 실천되게 된다. 따라서 천도교는 인내천의 종지와 함께 바로 이 사인여천을 사회적 실천윤리로 삼고 있기도 하다. ‘시천주’에서 ‘인시천’으로, 나아가 ‘사인여천’의 윤리로 거듭 뻗어나간 천도교의 가르침은 의암성사 때에 이르러 ‘사람이 이에 한울’이라는 ‘인내천(人乃天)’을 내놓게 되었고, 이 인내천을 천도교의 종지로 삼게 되었다.


    그러나 ‘사람이 이에 한울’이라는 ‘인내천’을 종지로 삼았다고 하여 천도교가 인간지상주의(人間至上主義)를 지향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사람이 한울이듯이, 우주의 모든 만유(萬有) 역시 한울 아님이 없다는 것이 곧 천도교의 가르침이기도 하다. 해월신사의 말씀과 같이 “저 나무 사이에서 울고 있는 새소리 역시 시천주의 소리니라.”는 가르침처럼 이 우주에 가득한 만유(萬有) 역시 한울님을 모시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가르침을 체득하게 되면, “한울님을 공경하듯이(敬天), 사람도 공경을 해야 하며(敬人), 나아가 만유도 이와 같이 공경해야 한다(敬物)”는 해월신사의 삼경사상(三敬思想)과 만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삼경사상 역시 시천주의 또 다른 표현이며, 인내천의 또 다른 표현이 된다. 따라서 이러한 천도교의 사상은 서구의 근대화 이후 대두된 인간중심 사상이 가지고 있는 폐해를 뛰어넘어 진정한 우주공동체의 삶을 열어갈 수 있는 사상이 아닐 수 없는 것이다. 바로 천도교의 종지가 되는 ‘인내천’은 대신사의 ‘시천주’에 그 연원을 둔 것으로, 인류가 지향하는 우주공동체의 삶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지표가 된다고 하겠다. 곧 천도교는 후천개벽의 새로운 차원의 시대를 맞아, 인류의 가장 큰 숙원인 진정한 평등과 자유가 넘쳐나는, 오직 인간들만이 아닌 인간과 자연, 나아가 인간과 자연과 신이 모두 함께 어우러져 살 수 있는 ‘우주 공동체의 삶’을 지향하는 종교라고 할 수가 있다. 이것이 곧 천도교가 궁극적인 종교적 목적으로 삼고 있는 ‘지상천국 건설’이기도 한 것이다.